본문 바로가기

서양 중세 철학/그리스 교부 철학

그리스 교부 철학_1 [주요 내용]

반응형

그리스 교부 철학은 주로 동로마 제국(비잔틴 제국)에서 초기 기독교 신학자들에 의해 발전된 철학적인 생각과 체계를 말한다. 교회의 아버지들 또는 ‘교부적인’ 작가들로 알려진 이 신학자들은 기독교 교리를 고대 그리스 철학, 특히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생각과 조화시키고자 노력했다.

 

먼저 이 글에서는 그리스 교부 철학에 대한 몇 가지 주요 내용을 알아보자.

 

그리스 교부 철학의 주요 내용과 과정

그리스 철학과의 통합 : 많은 교회 신부들은 그리스 철학 사상에 익숙했고, 그들은 기독교 가르침을 더 잘 설명하고 옹호하기 위해 이 사상들을 사용할 가능성을 찾았다. 플라톤의 철학은 특히 영향력이 있었는데, 비물질적인 세계와 영혼에 대한 그의 강조가 천국과 영생에 대한 기독교 사상과 반향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기독교적 논쟁 : 그리스도의 본질에 대한 정통적인 견해를 정의하고 옹호하는 데 교부철학 저술의 상당 부분이 쓰였다. 그리스 철학의 철학적 언어와 개념은 그리스도의 이중성(신적인 것과 인간 모두)과 성 삼위일체 내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단에 대한 방어 : 기독교가 성장함에 따라 그 가르침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나오게 된다. 교회 신부들은 철학적 논증을 사용하여 다양한 이단적 견해를 반박했다.

 

신비 신학 : 철학적 성찰은 신비한 경험과 영혼이 하나님과 결합하는 본질에도 적용되었다. 예를 들어 위 디오니시오스 아레오파기테스의 작품들은 하나님의 불가역성을 강조하며 '부정의 신학'을 옹호하였다.

 

교부 시대의 쇠퇴 : 이슬람 제국의 부상과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분리가 증가하면서, 7세기까지, 교부 시대는 일반적으로 막을 내렸지만, 그리스 교회 신부들의 철학적인 그리고 신학적인 기여들은 동방 정교회와 서양 기독교 모두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쳤다.

 

 

 

교부 철학은 종교와 철학을 통합하는 중요한 관점이다.

다음 글에서는 그리스 교부 철학의 주요 인물들어 대해 알아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