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 중세 철학/스콜라 학파

스콜라 학파(스콜라 철학)

반응형

스콜라 학파는 중세 유럽에서 발전한 기독교 철학의 한 방향성을 나타낸다. 스콜라 학파의 주요 관심사는 고대 그리스 철학,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과 기독교 신학을 어떻게 조화롭게 통합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스콜라 학파의 주요 특징과 인물들을 알아보자.

 

= 주요 특징 =

 

논리적·체계적 접근 : 스콜라 철학자들은 논리적, 체계적 접근을 중시했으며, 논쟁을 통해 진리를 추구했다.

 

신학과 철학의 관계 : 스콜라 철학자들은 철학을 "신학의 시녀"로 보았으며, 철학을 사용하여 신학적 진리를 탐구하고 논증하려고 시도했다.

 

 

= 주요 인물들 =

 

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Aquinas) : 스콜라 학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과 기독교 신학을 통합하려는 시도로 유명하다. 그의 주요 작품인 ‘신학대전‘는 중세 스콜라스틱 철학의 정점을 보여준다.

 

안셀무스 칸투아리엔시스 (Anselm of Canterbury) : ‘신은 생각할 수 있는 최고의 존재’라는 주장으로 유명하며, 이를 통해 신의 존재를 논증하려고 했다.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오컴의 윌리엄 (William of Ockham) : 스콜라 학파 후기의 주요 인물들로, 각기 다양한 철학적 접근법과 논쟁을 통해 스콜라 학파의 발전에 기여했다.

 

 

 

스콜라 학파는 중세 유럽의 교육 기관인 대학에서 가르치던 학문적 전통의 일부로서, 그 이름도 학교('scholae'의 라틴어)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학파는 중세 기독교 세계에서 지적 활동의 중심이었으며, 고대 그리스 철학과 기독교 신학 사이의 다양한 논쟁과 통합을 추구했다. 현대로 이어지는 초기 현대 철학의 발전과 관련하여, 특히 인식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 철학자들의 등장(데카르트 등)으로 스콜라 학파의 영향력은 점차 감소하게 되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