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가

(3)
공자_1 (2) 중년기와 노년기 이어서 공자의 생애를 마저 알아보자. 공자의 중년기와 노년기 공자는 31세에 낙양에 방문하고 35세에 제나라, 38세에 동주 등을 방문한다. 이때의 공자의 유랑은 유학에 가까운 유랑으로서 이를 공자의 유랑생활 중 1기라고 한다. 공자는 35세 때 노나라에서 발생한 '삼환의 난'이 일너나 이것을 피하려 제나라에 갔었다. 제나라에서 공자는 제나라의 왕 경공과 신하들에게 여러 것을 가르쳤으며 이에 감명받은 경공은 그를 자신의 정치적 고문으로 등용하려고 했으나 공자에게 위기감을 느낀 제나라의 재상 안영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이후 노나라로 돌아온 공자는 노나라에서 벼슬을 하였다. 하지만 공자는 노나라에서 여러 안 좋은 일들이 발생하자 노나라에서는 자신의 뜻을 이루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벼슬을 버린 후 제자들과..
공자_1 (1) 유년기와 청년기 유교의 위대한 스승, 공자의 인생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그의 유년기와 청년기에 대해 알아보자. 공자의 유년기와 청년기 공자는 기원전 551년 또는 기원전 552년 노나라의 창평향 추읍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숙량흘, 모친은 안징재이다. 숙량흘(성씨는 공孔, 숙량叔梁은 자)은 본처 시씨施氏와 아홉 명의 딸을 낳고 첩과도 한명의 아들을 낳았다. 그 후 노년에 안징재를 맞아 낳은 아들이 공자이다. 그가 3살때 부친이 죽었고, 어머니 안징재가 곡부의 궐리闕里로 이사하여 홀로 공자를 키웠다. 공자는 사생아였기 때문에 공씨 집안에서 숙량흘의 자손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따라서 부친 숙량흘의 재산은 이복 누이들과 이복 조카에게 상속되었고, 그의 몫으로 돌아온 것은 없었기에 가난했다는 얘기도 있고 부친 숙량흘이 모아놓은..
공자_0 공 자 공자 孔子, 이름은 구 丘, 자는 중니 仲尼. 공자는 춘추시대의 사상가이자 유학자, 유교의 시조이다. 노나라의 창평향 추읍, 지금 중국의 산둥성 취푸 출생. 주나라의 예禮와 악樂을 정리하여 유학의 기초 경전을 정립했고 이 예악禮樂을 바탕으로 하는 정치를 꿈꾸며 제자들을 가르쳤다. 50대에 노나라의 정치개혁에 참여했으나 실패했고, 그 후 제자들과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정치에 참여하려 했으나 관직을 얻는데에는 실패했다. 말년에는 노나라로 돌아와 제자교육에 전념했으며 73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후에 제자들이 그와 그의 제자들의 말을 어록 형식으로 기록한 『논어論語』가 전해진다. 1. 그의 생애 2. 그의 사상 3. 그의 명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