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49)
토마스 아퀴나스_3 [신 존재 증명]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했는데, 그의 '신학대전Summa Theologiae'에서 이러한 논증은 '다섯 가지 길' 또는 '다섯 가지 증명'으로 알려져 있다. 아퀴나스의 다섯 가지 길은 다음과 같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다섯 가지 길 운동을 통한 증명 via ex motu 모든 것은 움직여지기 위해 움직인다. 그러나 무한한 움직임의 연속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모든 움직임의 원인이 되는 첫 번째 움직이는 것, 즉 '움직이지 않는 움직이는 자'가 존재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신이다. 능동 원인을 통한 증명 via ex causa efficientis 모든 효과는 원인을 갖는다. 원인과 효과의 연속은 무한히 연장될 수 없다. 그러므로 모든 효과의 첫 원인이 있어야 한다. 그..
토마스 아퀴나스_2 [사상] 토마스 아퀴나스는 중세 스콜라 철학의 대표적인 인물로, 그의 사상은 그리스도교 신학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통합하는 데 중점을 둔다. 그의 핵심 사상을 알아보자.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 신학과 철학의 관계 아퀴나스는 신학과 철학이 각기 다른 영역의 지식을 탐구하나, 그 두 영역이 서로 충돌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철학이 자연적 이유와 관측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지식을 탐구하는 반면, 신학은 신의 계시를 통해 얻어지는 지식을 연구한다고 보았다. 신의 존재론적 증명 아퀴나스는 존재론적 증명five ways을 통해 신의 존재를 논리적으로 증명하려 했다. 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움직임의 원인, 효과와 원인, 그리고 필연적 존재와 가능한 존재에 관한 증명이다. 신의 본성 아퀴나스는 신이 무한하며, 완전하..
토마스 아퀴나스_1 [생애]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5-1274)는 중세 유럽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하나로, 그의 작품은 스콜라 철학의 정점을 나타낸다. 아퀴나스의 생애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토마스 아퀴나스의 생애 출생 및 초기 교육 1225년 이탈리아의 로카세카에서 출생한다. 그는 귀족 가문에 태어났으며, 어렸을 때부터 교육을 받기 시작했다. 수도회 젊은 나이에, 그는 도미니코 수도회(도미니코회)에 입회하기로 결정한다. 이 결정은 그의 가족에게 매우 불행한 소식이었고, 일시적으로 그를 감금하기도 했다. 학습의 길 아퀴나스는 도미니코 수도회에서 교육을 이어받았으며, 후에는 쾰른과 파리 대학에서 학습했다. 파리에서는 대표적인 스콜라 철학자인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에게 지도를 받았다. 학술적 활동..
그리스 교부 철학_2 [주요 인물] 그리스 교부 철학의 주요 내용에 이어 이번에는 이 철학을 발전 시켰던 주요 인물들에 대해 알아보자. 그리스 교부 철학의 주요 인물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St. Clement of Alexandria : 그는 그리스 철학을 구약성경이 새로운 것을 위한 길을 준비했던 방식과 유사하게 기독교를 위한 ‘예비’ 학문으로 보았다. 오리게네스 Origen : 가장 영향력 있는 초기 신학자 중 한 명인 오리게네스는 기독교의 교리를 플라톤의 사상, 특히 불멸의 영혼과 선재에 대한 개념과 통합하려고 노력하였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니사의 그레고리오) St. Gregory of Nyssa : 그는 오리게네스의 사상을 확장하고 신의 본질과 신과 창조의 관계에 대한 정교한 이해를 발전시켰다. 카파도키아 교부 The Cappa..
그리스 교부 철학_1 [주요 내용] 그리스 교부 철학은 주로 동로마 제국(비잔틴 제국)에서 초기 기독교 신학자들에 의해 발전된 철학적인 생각과 체계를 말한다. 교회의 아버지들 또는 ‘교부적인’ 작가들로 알려진 이 신학자들은 기독교 교리를 고대 그리스 철학, 특히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생각과 조화시키고자 노력했다. 먼저 이 글에서는 그리스 교부 철학에 대한 몇 가지 주요 내용을 알아보자. 그리스 교부 철학의 주요 내용과 과정 그리스 철학과의 통합 : 많은 교회 신부들은 그리스 철학 사상에 익숙했고, 그들은 기독교 가르침을 더 잘 설명하고 옹호하기 위해 이 사상들을 사용할 가능성을 찾았다. 플라톤의 철학은 특히 영향력이 있었는데, 비물질적인 세계와 영혼에 대한 그의 강조가 천국과 영생에 대한 기독교 사상과 반향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기독교..
길가메시, 엔키두, 이슈타르 길가메시와 엔키두는 하늘 황소를 죽였고 그 대가로 엔키두는 목숨을 잃었다. 하지만 이 이야기 말고도 길가메시, 엔키두, 이슈타르가 엮인 또 다른 이야기가 있다. 엔키두의 죽음에 대한 다른 이야기 유프라테스 강변에 훌루푸라는 나무 한 그루가 자라고 있었는데 어느 날 남풍이 불어 나무가 뿌리 째 뽑혀 강물 위에 떠내려가고 있는 것을 사랑의 여신 이슈타르가 보고 집에 가져다 심었다. 그런데 그 나무에 뱀과 새와 여자 허깨비가 살기 시작해 이슈타르는 태양신 샤마쉬 오빠에게 쫓아달라고 했으나 거절당했다. 다시 이슈타르는 길가메시에게 가서 부탁했다. 길가메시는 나무를 베어 이슈타르가 원하는 대로 가구를 만들어주고 뿌리와 가지로 공과 나무막대를 만들어 공놀이를 했다. 도시의 젊은이들이 공치기 놀이에 빠져 있자 젊은 ..
엔키두의 죽음 하늘 황소를 죽인 일 때문에 길가메시와 엔키두는 신들의 화를 샀다. 이로 인해 길가메시 서사시의 또 다른 주인공 엔키두는 죽음을 맞는다. 엔키두의 죽음과 영생을 좇은 길가메시 신들은 하늘 황소가 죽은 일에 격분하여 길가메시와 엔키두 중 하나가 죽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태양신 샤마쉬도 산지기 훔바바를 살려주지 않은 일로 둘을 노여워하고 있었기 때문에 반대에 나서지 않았다. 신들은 길가메시 대신 엔키두를 죽이기로 했다. 엔키두는 하늘 황소가 죽은 날 꿈을 꾸었는데, 자신의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날부터 엔키두는 병들어 얼마 지나지 않아 죽었다. 길가메시는 엔키두의 죽음을 몹시 비통해 하며, 온 나라에 있는 구리, 은, 보석, 금으로 엔키두의 상을 만들게 했다. 길가메시는 엔키두의 상을 만들고 나서도 ..
토마스 아퀴나스_0 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Aquinas 1225 ~ 1274.03.07 토마스 아퀴나스는 위대한 신학자이자 철학자였다. 스콜라 학파의 정점에 서 있던 학자이며, 그가 저술한 '신학대전' 등은 현재까지도 역사적으로 중요한 고전이다. 그의 사상으로 철학과 신학 모두 뛰어난 발전을 거쳤다. 1. 그의 생애 2. 그의 사상 3.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 존재 증명

반응형